- 메뉴 바로가기
- 컨텐츠 바로가기
NEW START!
경기도를 대표하는 대학, KGU
-
교육과정 혁신
미래형 교육과정 선도
-
학사제도 혁신
경계 없는 학사관리 제도 혁신
-
학생지원 혁신
함께 공감하는 학생지원
-
지역협력 혁신
지역과 세계의 경제· 문화 발전 협력
-
대학경영 혁신
대학 경영 인프라 재구축
-
산학협력 및 연구 혁신
산학협력 및 연구 생태계구축
교육과정 혁신미래형 교육과정 선도
-
-
핵심역량과 교양 교과목 간의 연계성
부족,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체계 강화
필요
-
지식용합시대에 대응하는 융합 학제간
융합능력 함양 필요
-
교양교육과정 고도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
및 BARUN 역량 함양 교과목 개발 · 개선을
통한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체계 강화
-
사회수요기반 융·복합 교육과정 개발 및
교육환경 고도화
-
학생 융· 복합 역량 향상을 위한 교수 ·
학습 지원 확대
-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세계 강화
- 교양교육 연구센터 설치
- BARUN 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목 개발
- 융·복합 전공 교육 강화
- 융·복합 교육을 위한 교육 환경 고도화
- 학생 융· 복합 역량 강화 지원
-
-
학생들의 학업 적용 및 학습역량 항상을
위한 단계별(기초,심화) 자기주도학습
지원 체계 필요
-
4차 산업혁명시대 창의융합역량 강화를
위한 교육지원 필요
-
단계별 맞춤형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통한
학업 적용 및 학습역량 강화
(중도탈락 고위험군 예방 시스템 강화)
-
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강화
프로그램 확대 및 감성소프트웨어
교육과정 개발 운영
- 단계별 자기주도학습 지원체계 강화
- 기초학습역량 강화
- 심화학습역량 강화
- 창의융합역량 강화
- 창의적 문제해결 교육
학사제도 혁신경계 없는 학사관리 제도 혁신
-
-
학생 중심의 전공 선택권 확대를 위한 선진
학사 제도 도입 필요
-
사회 수요와 대학 특성화에 기반한 트랙
제도 연구 및 과정 신설 필요
-
다전공 및 전공선택 유연화 제도 활성화를
통한 학생 전공 선택권 확대와 교육 수요자
만족도 향상
-
사회 수요 맞춤형 트랙 신설을 통한 대학특화전략 중심의 유연한 교육 과정 제공
- 유연한 학사제도 및 트랙제 활성화
- 다전공 및 전공선택 유연화 제도 활성화
- 대학특화전략 중심 교육 체계 강화
-
-
교육 성과 관리 및 핵심역량진단 고도화를
통한 데이터 기반의 교육의 질 관리 체계
개선 필요
-
교과목별 품질 관리 및 교과기반 평가체계
확립 필요
-
교양 및 융· 복합(융합· 연계) 전공 확대에
따른 교육과정 질 관리 필요
-
단계별 맞춤형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통한
학업 적용 및 학습역량 강화
(중도탈락 고위험군 예방 시스템 강화)
-
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강화
프로그램 확대 및 감성소프트웨어
교육과정 개발 운영
- 교육 성과 관리 체계화
- 3단계 CQI 환류 체계 고도화
- 핵심역량진단 고도화
- 교육의 질 관리 및 교육인증제 확대
- 전공교육과정 인증제 활성화
-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성과 학산
- 교양 및 음 복합 교육과정 인증제 추진
학생지원 혁신함께 공감하는 학생지원
-
- 교육과정 및 교육서비스 등의 지속적 질 관리를 통한 수요자 만족도 제고 필요
- 학업 및 대인관계 등 고위험군 학생에 대한 집중관리 필요
- 교육 수요자 만족도 문항 및 환류 체계 고도화를 통한 지속적 질 관리 체계 개선
- 밀착형 상담 지원체계 구축(평생지도교수 상담 강화 및 데이터 기반 위험 학생 관리)을 통한 학교 적응력 향상
- 교육 수요자 만족도 관리
- 교육 수요자 만족도 조사 기반 환류 체계 고도화
- 밀착형 상담 지원체계 구축
- 평생지도교수 상담 강화
- 데이터 기반 위험 학생 관리
-
- 학생 역량과 학습과정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지원시스템 고도화 필요
- 4차산업혁명시대 교육방식의 변화에 따른 학생 중심의 선진화된 교육 환경 조성 필요
- 학생역량통합관리(BARUN)시스템 및 학습지원시스템(LMS)고도화를 통한 과학적, 통합적 관리
- 창의형 학습공유공간(CLC) 및 미래 체험 학습공간(KFC) 조성을 통한 교육환경 개선 및 학습효과 극대화
- 실습· 연구 공간 안전환경 및 첨단강의실 등 교육 기초 인프라 개선
- 학생지원 시스템 고도화
- 학생역량통합관리(BARUN) 시스템 고도화
- 학습지원시스템(LMS) 고도화
- K- space
- 창의형 학습공유공간(CLC) 구축
- 미래기술 제험형 학습공간(KFC) 구축
- 교육 기초 인프라 개선
- 실습· 연구 공간 안전 환경 개선
- 첨단 강의실 개선
- 교육용 기자재 교체
지역협력 혁신지역과 세계의 경제· 문화 발전 협력
-
- 대학과 지역사회 간 협력을 통해 대학이 가진 다양한 자원 활용의 필요성 제기
- 지역민의 지식 활동 및 정서적 안정에 기여하기 위한 보다 다양한 교육 서비스 제공 필요
- 대학의 건학이념과 교육목적 (공동체의 번영과 행복에 기여하는 봉사인 양성)을 구현하기 위한 사회봉사 강조
- 대학이 가진 지식과 기술을 사회에 환원, 지역사회 기여를 통한 사회적 책무 이행
- 문화예술 지역공동체 형성 및 교육 봉사 프로그램 개발· 운영
- 지역사회 협력과 해외봉사 활동 등을 통한 대학의 건학이념 및 교육목적 실현
- 지역사회 연계 체계 강화
-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심폐소생술 교육
- 지역연계 문화예술교육
- 진 · 성 · 애 해외봉사단
대학경영 혁신대학 경영 인프라 재구축
-
- 빅데이터 기반의 대학교육 성과분석 및 체계적 관리 필요
- 대학 경영 품질 인증을 통한 교육 품질 향상 및 대외 이미지 제고 필요
- 대학기관연구(IR)을 통한 합리적 정책수립및 의사결정 체계 수립, 교수· 학습 활동 질 관리 체계 정착 및 고도화
- 교육기관경영시스템(ISO 21001) 국제표준인증을 통한대 우리 대학의 대외 이미지 제고 및 외국인 학생 유치 기대
- 대학 경영시스템 체계화
- 성과관리중심 기관 연구 추진
- 교육기관경영시스템 인증(ISO 21001)
학생지원 혁신함께 공감하는 학생지원
-
- 4차 산업혁명 관련 연구과제 발굴 및 정보 공유 필요
- 특성화· 전문화 가능성이 높은 연구소 육성, 경기도를 대표하는 연구 거점 구축 필요
- 4차 산업혁명 관련 대외 R&D 동향분석 및 정보수집을 통한 교외 연구 수주 확대
- 대표 연구소 육성을 통한 특성화 분야(관광-ICT 융합, 제조· 디자인 융합, 문화 콘텐츠· SW융합, BT-ET-NT 융합) 모델 고도화 및 연구역량 강화
- 연구 친화형 생태계 구축
- 4차 산업혁명 과제 추진단 운영
- 경쟁력이 있는 대표 연구소 육성
-
- 산업체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현장 맞춤형 교육 강화 필요
- 학생 취·창업 지원 및 연계 활동을 통한 산학협력 활성화 필요
- 현장실습 및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활성화를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역량 배양
- 현장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확대 및 진로· 취업연계 교과· 비교과 프로그램 활성화
- 산학 친화형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
-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할성화
- 현장실습 교육 활성화
- 진로· 취업 교과목 운영 내실화
- 학생중심의 취업 교과 운영
- 진로· 취업교과목 콘텐츠 제작
- 진로·취업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
- 취업동아리 KCCP 운영
- 진로· 취업 비교과 운영 내실화
- 취장업 역량강화 교육과정 문영